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사칙연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식은 이진 트리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는 식 “(8/2)*(6-4)”을 이진 트리로 표현한 것이다.
임의의 정점에 연산자가 있으면 해당 연산자의 왼쪽 서브 트리의 결과와 오른쪽 서브 트리의 결과를 사용해서 해당 연산자를 적용한다.
사칙연산 “+, -, *, /”와 양의 정수로만 구성된 임의의 이진 트리가 주어질 때, 이 식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여기서 말하는 유효성이란, 사칙연산 “+, -, *, /”와 양의 정수로 구성된 임의의 식이 적절한 식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계산이 가능하다면 “1”, 계산이 불가능할 경우 “0”을 출력한다.
(단, 계산이 가능한지가 아닌 유효성을 검사하는 문제이므로 0으로 나누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
[연산이 가능한 경우]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제약 사항]
총 10개의 테스트 케이스가 주어진다.
총 노드의 개수는 200개를 넘어가지 않는다.
트리는 완전 이진 트리 형식으로 주어지며, 노드당 하나의 연산자 또는 숫자만 저장할 수 있다.
노드는 아래 그림과 같은 숫자 번호대로 주어진다.
[입력]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 줄에는 각 케이스의 트리가 갖는 정점의 총 수 N(1≤N≤2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줄에 걸쳐 각각의 정점 정보가 주어진다.
해당 정점에 대한 정보는 해당 정점의 알파벳, 해당 정점의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의 정점번호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정점 번호는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구분된다. 입력에서 정점 번호를 매기는 규칙은 위와 같으며, 루트 정점의 번호는 반드시 1이다.
입력에서 이웃한 숫자 또는 연산자, 자식 정점의 번호는 모두 공백으로 구분된다.
위의 예시에서, 숫자 8이 4번 정점에 해당하면 “4 8”으로 주어지고, 연산자 ‘/’가 2번 정점에 해당하면 두 자식이 각각 숫자 ‘8’인 4번 정점과 숫자 ‘2’인 5번 정점이므로 “2 / 4 5”로 주어진다.
총 10개의 테스트 케이스가 주어진다.
[출력]
#부호와 함께 테스트 케이스의 번호를 출력하고, 공백 문자 후 테스트 케이스의 정답을 출력한다.
** 이 문제 접근은 우선 트리에서 차일드가 없는 노드가 연산자로 이루어져있는지만 검사하면 된다~!!
** 따라서 리프노드를 검사한 후 그 리포노드 들의 값이 연산자이면 0을 출력하면 되는 것임
** 아직 재귀가 익숙치 않아 for문을 사용해서 풀었음!!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FileInputStream;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InOrder{
int num;
String op;
int cNum1=-1;
int cNum2=-1; // 자식 번호 저장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for(int test_case = 1; test_case <= 10; test_case++) {
int cnt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Order[] v = new InOrder[cnt+1];
for(int i=0;i<=cnt;i++)v[i] = new InOrder();
for(int i=1;i<=cnt;i++) {
String s = br.readLine();
int len = s.split(" ").length;
v[i].num = Integer.parseInt(s.split(" ")[0]);
v[i].op = s.split(" ")[1];
//입력받은 수의 갯수를 보고
// child 노드 값을 입력~!!
if(len == 4) {
v[i].cNum1 = Integer.parseInt(s.split(" ")[2]);
v[i].cNum2 = Integer.parseInt(s.split(" ")[3]);
} else if(len == 3) {
v[i].cNum1 = Integer.parseInt(s.split(" ")[2]);
}
}
boolean flag = true;
for(int i=1;i<=cnt;i++) {
if((v[i].cNum1 == -1) || (v[i].cNum2 == -1)) { // child가 없는 노드 중 값이 연산자이면 오류!!
if(((v[i].op).equals("+") || (v[i].op).equals("-") || (v[i].op).equals("*") || (v[i].op).equals("/")))
{
flag = false;
System.out.println("#"+test_case+" 0");
break;
}
}
}
if(flag)System.out.println("#"+test_case+" 1");
}
}
}
'알고리즘 > SWEA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 4579 - D3) 세상의 모든 팰린드롬 2 (0) | 2020.10.04 |
---|---|
SWEA 1289 - D3) 원재의 메모리 복구 (0) | 2020.08.19 |
SWEA 1938 - D1) 아주 간단한 계산기 (0) | 2020.08.15 |
SWEA 2027 - D1) 대각선 출력하기 (0) | 2020.08.15 |
SWEA 1984 - D2) 중간 평균값 구하기 (0) | 2020.08.13 |